나의 개발일지
ABOUTARCHIVESCATEGORIESHOMETAGS

  • 랭체인(LangChain) 이해 및 Django 기반 ChatBot 실습

    Dec 26, 2023 About 8 mins

    랭체인(LangChain)이란? 랭체인은 대규모 언어 모델 기반의 어플 제작을 쉽게 지원해줄 수 있는 프레임워크를 말합니다. 참고 코드간략화를 통한 개발환경 개선으로 표현하기에는 갖고있는 기능들이 많아 일단 위와 같이 서술하였습니다. LangChain은 아래의 기능들을 제공하며 본문의 코드에서는 챗봇에 관해서만 다루었습니다. Retrieval augmented generation(외부데이터를 참조하여 LLM이 답변할 수 있도록함) Analyzing structured data(SQL DB와 상호작용) Chatbots(챗봇) 랭체인의 구성 요소 LangChain 라이브러리는 여러 가지 ... Read More

    #LangChain
  • OSI모델과 물류 시스템

    Dec 01, 2023 About 3 mins

    OSI 7 Layer ※이 글은 OSI모델에 대한 정보를 비유를 통해 쉽게 전달하는데 목적이 있으며 비유하는 과정에서 역할을 단순화시킨 부분도 있기 때문에 다소 잘못된 내용이 있을 수 있습니다..! 먼저 위키백과에서 설명하는 OSI모델에 대한 설명을 보면 아래와 같습니다. 링크 OSI 모형(Open Systems Interconnection Reference Model)은 국제표준화기구(ISO)에서 개발한 모델로, 컴퓨터 네트워크 프로토콜 디자인과 통신을 계층으로 나누어 설명한 것이다. 본문에서 왜 컴퓨터 네트워크 프로토콜을 계층별로 나누었는지 쉽게 알아보기위해 저는 사전에 아래와 같은 비유를 통해서 차례대로... Read More

    #OSI model#OSI 7 Layer
  • 니모닉(mnemonic)과 CPU의 기본구조+연산 과정

    Dec 01, 2023 About 3 mins

    니모닉(mnemonic) 니모닉에 대해 설명하기 앞서 이해를 돕기 위해 간략하게 기계어와 명령어 집합 그리고 어셈블리어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CPU는 1과 0으로 이루어진 기계어만을 사용하며 명령어 집합에 의해 동작됩니다. 문제는 이 1과 0으로 이루어진 명령어라는 게 CPU마다 다르고 사람이 1과 0만으로 프로그래밍하기가 힘들다는 것인데 이를 해결하기 위해 사람이 이해할 수 있도록 문자화하고 기계어와 1대 1 대응하도록 하여 만든 것이 어셈블리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예로 1011 1011이라는 기계어가 어떤 값에 대입을 의미한다면 이를 MOV라는 형식으로 바꿀 수가 있는데 이렇게 1대1 대응하도록 만... Read More

    #mnemonic#cpu
  • 통일된 타겟에 대한 적대적 예시 생성-CIFAR-10, ResNet-18, FSGM

    Nov 30, 2023 About 12 mins

    논문 링크. Explaining and Harnessing Adversarial Examples논문에 등장하는 FGSM은 적대적예시 생성 공격 기법의 시초격이기에 매우 유명하고 타 블로그에서 많이다루기도해서 짧게만 설명하고 코드로 들어가보려고합니다. FGSM FGSM은 Explaining and Harnessing Adversarial Examples에서 등장한 공격기법이며 기존 모델을 바탕으로 이미지에 noise를 가해서 적대적예시(Adversarial examples)을 만드는 것을 말합니다. 적대적 예시(Adversarial Example)가 무엇이죠? 원래 잘분류되던 이미지를 의도적으로 조작하여 오분류하... Read More

    #Adversarial Attack#FGSM
  • 경사하강법으로 풀어내는 선형회귀

    May 08, 2023 About 14 mins

    선형회귀의 목적 y가 x의 선형 함수로 표현될 수 있다고 가정하고, 독립 변수 x의 계수를 구하는 것← 새로운 입력값에 대한 출력을 얻기 위함. 이해를 돕기위해 아래와 같은 문제를 가정해보았습니다. X: [1, 2 ,3]이라는 값들이 어떠한 필터를 거치면 Y: [4, 6, 8]이라는 형태로 바뀐다고 가정합니다. Q: 이때 X=4일때 값은? A: 10 우리는 이 10이라는 값이 f(x)=2x+2라는 함수를 거쳐나온 값이라는 것을 쉽게 유추할 수 있습니다. 데이터가 많다면 위와 같은 방법이 통할까요? 또한 데이터가 규칙적이지 않아 그나마 제일 근사하는 X를 찾아야한다면? 이 경우 사람이 연산하기 매우 힘들어집... Read More

    #Linear Regression#Gradient Descent#Least Square Method
  • All5
  • CS 1
  • 웹 2
  • 인공지능 2
Unpublished Work © 2017-2024 GitHub User
Powered by Jekyll & Yat Theme.
Subscribe via RSS